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리얼인가, 픽션인가, 『여배우들』 여배우들 감독 이재용 (2009 / 한국) 출연 윤여정, 이미숙, 고현정, 최지우 상세보기 편집이나 어떤 대본의 커팅도 없이 한번에 찍은 듯한 영화. 글쎄 이걸 픽션이라고 해야할까, 리얼이라고 해야할까. 어쨌든 그 사이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화씨911 같은 다큐영화의 형식을 띠고 있는 것 같다. 영화라고 하기에는 배우들의 연기내공 탓인건지, 너무 일상적인 이야기같아서 아직도 조금 의심이 든다. 무릎팍도사에서 윤여정씨가 나왔을 때 거의 리얼에, 애드립이 많다고 했다는데, 일개 관객인 내가 보기에도 고현정과 최지우의 마찰을 제외하고는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화려한 조명 뒤의 그림자를 봐달라고 외치는 여배우들. 그들의 삶에도 나름의 애환이 있겠지. 그걸 폄훼하거.. 2010. 2. 20. 눈물을 빼기엔 충분한 '뻔한 감동', 『국가대표』 국가대표 감독 김용화 (2009 / 한국) 출연 하정우, 성동일, 김지석, 김동욱 상세보기 버려진 입양아도 있고 약물파동으로 제명을 당한 '어린' 유망주들도 있다. 소외된 사람들, 특출나지 않은 이들의 도전이라는 설정은 스포츠와 어우러져 감동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하지만, 그것은 언제까지나 '실제 스포츠'일 경우에나 가능한 이야기다. 이런 만들어진 감동은 사실 결말 예측이 쉽고 역경을 딛고 일어나는 수많은 영웅들의 이야기와 닮아있어서 진부하다. 플롯에 의존하기에는 너무나도 흔하고 예측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국가대표가 감동적이라는 평을 받은 이유는 디테일을 잘 살렸기 때문이다. 이런 류의 예측 가능한, 뻔한 스토리의 영화는 무엇을 만드느냐보다는 어떻게 풀어가느냐가 중요하다. 주인공 입양아와 엄마의 만.. 2010. 2. 14.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오스카 와일드 (현대문화센타, 2009년) 상세보기 영원한 삶, 영원한 젊음, 영원한 아름다움. 영원을 향한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지만, 그러한 욕망은 대개 부정적인 것으로 그려진다.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아헤매는 것이 후세에 부정적으로 비추어지는 것은 아마도 영원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속될 수 없는 것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 0%의 가능성을 알면서도 부인하려는 몸부림은 주로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자들에게 허용되었지만 실로 이는 인간의 아주 기본적인 욕망이다. 오스카 와일드의 도리언 그레이는 그러한 욕망의 표상이다. 영원한 젊음과 영원한 아름다움을 갈구하는 남자. 그리고 그 아름다움과 젊음 자체가 삶의 목적인 남자. 영.. 2010. 2. 14. 사회학에의 초대 사회학에의 초대 카테고리 정치/사회 지은이 피터 L.버거 (문예출판사, 1995년) 상세보기 읽은지는 사실 꽤 지났는데 이제야 감상을 적는다. 사회학의 개론적인 내용, 사회학자들은 무엇을 하는가, 왜 사회학인가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사회학적인 마인드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배울 수 있었다. 결혼을 단지 사랑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제도의 일환으로, 사회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 고민하는 시각이 아주 좋았다. * 사회통제란 사회의 저항하는 성원들을 다시 협조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가 사용하는 다양한 수단을 가리킨다. 가끔 만나는 소규모집단이라도 매우 짧은 시간 안에 해체되지 않으려면 그들 나름의 통제메커니즘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광장공포증 : 강박신경증의 한 증상이다. 낯선 거리나 사람들이.. 2010. 2. 10. 유혹하는 글쓰기 유혹하는 글쓰기 카테고리 인문 지은이 스티븐 킹 (김영사, 2002년) 상세보기 스티븐 킹의 창작론이 들어있는 책. 스티븐 킹의 과거(어린시절부터 작가가 되기까지)와 후기 성격으로 인생론이 곁들여진 책이다. 과거 - 창작론 - 인생론(후기)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 사실 스티븐 킹이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은 과거사를 이야기형식으로 꾸민 거라 굳이 읽지 않아도 상관없다. 비록 소설창작에 관한 내용이지만 창작론에는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숙지해야할 원론적이지만 망각하기 일쑤인 내용이 들어있다. 1. 좋은 아이디어를 찾는 게 문제가 아니다. 좋은 아이디어라는 사실을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2. 이야기를 쓸 때 자신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생각하라. 고칠 때는 원고와 무관한 것을 찾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하.. 2010. 1. 12.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87 다음 반응형